나경원·원희룡·한동훈, 23일 1시간차 릴레이 당대표 출마 선언
24.06.21
1f7a43dde674e75e6685150d380177fcbe4b988f48d59b479af5f46737a0511a13c17ad7c0ce1f9f0ceaf6ab5a1d87f6283c99f59bc894d2372839d0cc63c1f4

한동훈 전 비상대책위원장과 나경원 의원,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 등 국민의힘 당권주자 3명이 오는 23일 국회 소통관에서 1시간 단위로 릴레이 출마선언에 나선다.

나 의원은 23일 오후 1시 출마를 선언한다. 나 의원은 '원외 대표 한계론'을 주장하며 한 전 위원장을 견제해왔다. 하지만 원 전 장관이 출마 선언 전 윤석열 대통령과 회동한 사실이 알려지자 '대통령실을 팔거나 제2연판장 같은 사태가 있어서는 안된다'며 포문을 확대했다.

나 의원은 21일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 참석 전 기자들과 만나 "일요일 출마선언한다"며 "저는 전당대회를 앞두고 줄세우고, 줄 서는 정치를 정말 타파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어 "모두 통합하는 정치를 하고 싶은데 제2의 연판장인가 이런 생각도 든다"며 "이런 정당 모습 보여서는 안 된다. 우리 는 하나로 모여 가야 한다"고 했다.

그는 '윤석열 대통령과 통화했다는 보도'에 대해 "지금 진행하는 형국이 제2의 연판장 아니냐. 이런 생각 들게 해서는 안 된다"며 "늘 국민에게 줄 서는 정치를 했으면 한다"고 했다.

149d972d703ee9cf2c11d0e9841afe90210b2be203fec78ea9340ffcfa4113f7a879b2aca6127724e40f13c3a3f79e190afdf5210bda95a172e271f0ca2c793a

한 전 위원장은 같은날 오후 2시 소통관에 선다. 한 전 위원장은 '어대한(어차피 당대표는 한동훈)'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각종 여론조사에서 압도적인 우위를 달리고 있다.

하지만 한 전 위원장의 지지층은 비대위 시절 영입인사와 초선 의원, 일부 분화된 친윤계 등이 중심으로 조직력은 높지 않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철규 의원 등 친윤계는 한 전 위원장을 향해 총선 패배 책임론 등을 제기하며 전당대회 출마에 불편한 시선을 감추지 않고 있다. 친윤계는 나 의원과 원 전 장관을 대항마로 측면 지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전 위원장과 친한계는 윤석열 대통령과 관계 정상화를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 전 위원장은 19일 윤 대통령과 연락해 "위기를 극복하고 이기는 정당을 만들어보겠다"며 당대표 출마 결심을 전했다. 윤 대통령은 한 전 위원장을 격려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의례적인 격려였다고 평가절하하는 목소리가 당 안팎에서 나온다.

1f73ed25b63f4cd37bc2bf099170ea41e30fa610898b27af5c4ce0a074ec8ab958a3143f541389e2e24c2d28314cf2825d331ab51f7790f66cc0ba4e966645a9

원 전 장관은 같은날 오후 3시 출마를 선언한다. 채 상병·김건희 여사 특검법과 당정 관계 등 사안에 대해서도 답변할 전망이다. 원 전 장관 측은 "항상 정치 현안에 대한 팔로업이 돼 있기 때문에 국토교통부 장관을 하셨을 때도 뭐든지 답을 해주셨다"고 설명했다.

원 전 장관은 21일 오후 국회를 찾아 나 의원과 윤 의원 등 당권 주자는 물론 김기현 전 대표, 인요한 전 혁신위원장 등 당 인사들을 예방할 예정이다. 원 전 장관은 출마 명분으로 통합과 소통을 강조하고 있다.

앞서 원 전 장관은 전날 언론에 보낸 메시지에서 "지난 총선 패배 이후 대한민국과 당의 미래에 대해 숙고한 결과, 지금은 당과 정부가 한마음 한뜻으로 총선을 통해 나타난 민심을 온전히 받드는 변화와 개혁을 이뤄내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말했다.

원 전 장관의 경우 출마를 공식화한 전날인 19일 엘살바도르 대통령 특사 관련 보고를 위해 윤 대통령과 만났다. 윤 대통령은 '나라와 국가, 국익을 위해서 일해달라'는 당부를 전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동훈·나경원·원희룡·윤상현 등 당권 주자들이 모두 윤 대통령에게 자신의 출마 의사를 전달한 것으로 파악됐다.

공유하기
광고보고 콘텐츠 계속 읽기
당신을 위한 추천 콘텐츠
뉴스
제주 '선원 12명' 선박 실종…한덕수, "인명 구조 최선" 긴급 지시
06.25
뉴스
사천에어쇼, 2026년부터 국제적 수준으로 행사 규모 확대
06.26
뉴스
노동부, "공장 전체에 작업중지 명령"…'23명 사망' 아리셀 대표 입건
06.26
뉴스
해군교육사-경남FC, 호국보훈의 달 계기 축구경기 관람 및 식전행사 지원
06.26
뉴스
화성 아리셀 화재, 중대재해법 조사 본격화…고강도 조사 이뤄질듯
06.25
뉴스
거제문화지음 건립, 오는 6월 26일 착수…2025년 5월 준공 목표
06.25
뉴스
北, 평양서 탄도미사일 발사…"극초음속 시험발사 실패 추정"
06.26
뉴스
해군사관학교 해양연구소, 충무공‧수군사 관련 학술총서 "충청수군", "통제영" 발간
06.26
뉴스
경상남도, 도내 99개 물놀이형 어린이놀이시설 안전점검 시행
06.26
뉴스
손웅정 감독·코치 아동학대 혐의로 피소…"코치는 때리고 손웅정은 욕설"
06.26
뉴스
한덕수 총리, "ODA, 6조8000억원 규모로 확대"…전년비 8.5%↑
06.26
뉴스
여야, 내일 본회의 개최 합의…국회부의장·7개 상임위원장 선출
06.26
뉴스
경상남도·부산·울산, 정부에 '광역철도 조기구축' 공동건의
06.26
뉴스
법원, '이호국 창원레포츠파크 이사장 해임' 집행정지 기각
06.26
뉴스
尹대통령, "임기내 100만명 심리상담 등 전국민 정신건강 살핀다"
06.26
뉴스
이재성, 민주당 부산시당위원장 도전…"지방선거 온라인투표 공천"
06.26
뉴스
2024년 웅천도요지전시관 백자 테마전 운영
06.26
뉴스
4월 출생아수 2.8%↑ 19개월 만에 반등…"기저효과·혼인건수 증가 영향"
06.26
뉴스
공사비 폭등에 수도권 정비사업 무더기 취소
06.26
뉴스
오세훈 서울시장, '행정의 노벨상' UN 공공행정상 본상 수상
06.26